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세계 군사력 순위를 통한 각국의 군사력 특성 및 이란, 이스라엘 군사력 순위

by 이조은세상 2024. 3. 3.

이 글에서는 세계 군사력 순위에 대해 가용 인력, 육해공군의 장비 보유 능력에 따라 세분화해서  비교해 봅니다. 한국, 북한, 인도, 파키스탄의 군사력을 비교 분석하고, 각 국가의 군사력, 이란과 이스라엘의 군사력이 어떤 특성을 보이는지, 그리고 이들 군사력이 어떻게 각 국가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봅니다.

1. 세계의 군사력 순위를 살펴보다

 

이란과 이스라엘 긴장 고조 : 중동 지역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과 두 국가의 군

최근 중동 지역의 긴장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이란이 시리아 내 자국 영사관 공격에 대한 보복으로 이스라엘에 대한 공격을 예고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란의 공격 예고와 이에 대한 세계

bookstory-2023.tistory.com

1.1 군사력 지수(영어: Global Firepower Index, GPI)

각 국가의 군사력을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이 지표는 병력 규모, 무기 시스템, 경제력, 지리적 위치, 국가의 자원 등 많은 요소를 고려하여 계산됩니다. 

1.2 종합순위

1위는 미국, 2위 러시아, 3위, 중국, 4위 일본, 5위 인도, 6위 영국, 7위 프랑스, 8위 브라질, 9위 독일, 10위 대한민국, 17위 파키스탄, 21위 우크라이나, 46위 이스라엘, 58위 북한이 순위에 이름을 올리고 있습니다.

1.3 가용인력으로 본 군사력 순위

가용인력 : 쓸 수 있는 상태의 사람 (여기에서는 군인을 뜻함)

1위 중국, 2위 인도, 3위 미국, 4위 인도네시아, 5위 브라질, 6위 파키스탄, 7위 방글라데시, 8위 나이지리아, 9위 러시아, 10위 멕시코, 26위 대한민국, 30위 우크라이나, 47위 북한, 90위 이스라엘이 이름을 올렸습니다.

세계 군사력 순위

1.4 현역 군인 군사력 순위

현역 군인 : 현재 각 부대에 딸려 복무하고 있는 병역 또는 군인

1위 중국, 2위 인도, 3위 미국, 4위 북한, 5위 러시아, 6위 파키스탄, 7위 대한민국, 8위 이란, 9위 베트남, 10위 사우디아라비아, 22위 우크라이나, 33위 이스라엘이 이름을 올렸습니다. 

1.5 예비역 군인 군사력 순위

예비역 : 현역을 마친 사람에게 일정한 기간 동안 부여되는 병역. 평시에는 일반인으로 생활하다가 국가 비상시나 훈련 기간에 소집되어 군무에 종사한다. 

1위 대한민국, 2위 러시아, 3위 타이완, 4위 싱가포르, 5위 브라질, 6위 인도, 7위 우크라이나, 8위 미국, 9위 북한, 10위 파키스탄 이 이름을 올렸습니다.  

2. 육군의 세계 군사력 순위 : 전차, 병력 수송 장갑차, 자주포 보유 군사력 비교

전차, 병력 수송 장갑차, 자주포는 육군의 주요 무기입니다. 이들 무기의 보유 수는 각 국가의 육군 군사력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2.1 전차 보유 군사력 순위

전차 (탱크) : 두꺼운 철판으로 장갑(裝甲)하고, 포와 기관총 따위로 무장한 차량. 

1위 러시아, 2위 북한, 3위 미국, 4위 인도, 5위 시리아, 6위 이집트, 7위 이란, 8위 중국, 9위 튀르키예, 10위 모로코, 11위 파키스탄, 12위 대한민국, 13위 우크라이나, 16위 이스라엘이 이름을 올렸습니다.

2.2 병력 수송 장갑차 군사력 순위

장갑차 : 군사 인원 수송 및 보병 전투용으로 만들어진 장갑 차량. 대개 전차에 비하여 장갑의 두께가 얇고 대구경의 포를 장착하지 않은 것이 특징이며, 무한궤도를 장착한 것과 타이어를 사용하는 것이 있다. 

1위 미국, 2위 중국, 3위 러시아, 4위 대한민국, 5위 사우디아라비아, 6위 튀르키예, 7위 우크라이나, 8위 이집트, 9위 북한, 10위 인도, 11위 파키스탄, 17위 이스라엘이 이름을 올렸습니다.

2.3 자주포 보유 군사력 순위

자주포 : 군사 차량이나 장갑차 따위에 고정하여 만든 포. 견인포(牽引砲)에 비하여 쉽게 옮겨 다니며 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위 러시아, 2위 대한민국, 3위 중국, 4위 미국, 5위 이집트, 6위 튀르키예, 7위 북한, 8위 우크라이나, 9위 이란, 10위 사우디아라비아, 11위 이스라엘, 19위 파키스탄이 이름을 올렸습니다.

3. 해군 군사력 순위 : 항공모함, 잠수함, 구축함 함대 비교

3.1 국가별 해군 함대 군사력 순위

함대 : 바다나 대양에서 전략 및 작전 임무를 수행하는 해군의 연합 부대. 군함들과 항공기, 해군으로 구성됩니다. 

1위 미국, 2위 러시아, 3위 일본, 4위 중국, 5위 콜롬비아, 6위 러시아, 7위 이집트, 8위 태국, 9위 인도, 10위 인도네시아, 19위 대한민국, 27위 파키스탄, 37위 이스라엘, 75위 우크라이나

3.2 항공 모함 함대 군사력 순위

항공 모함 : 항공모함은 국가의 해외 전략적 프로젝션 능력을 나타냅니다. 즉, 항공모함이 있으면 전 세계 어디든지 공중 지원을 제공하고, 바다 위에서 항공기를 이착륙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국가가 해외에서 군사 작전을 수행하는 능력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1위 미국(15), 2위 일본(12), 3위 중국(2), 4위 영국(2), 5위 이탈리아(2), 6위 인도(1), 7위 러시아(1), 8위 스페인(1), 9위 프랑스(1)

3.3 잠수함 군사력 순위

잠수함 : 잠수함은 국가의 해상 방어 능력과 은밀한 공격 능력을 나타냅니다. 잠수함은 물 밑에서 은밀하게 움직일 수 있으므로, 적의 방어망을 피해 공격하거나 적의 공격을 방어하는 데 사용됩니다.

1위 중국(79), 2위 미국(68), 3위 러시아(64), 4위 북한(36), 5위 이란(29), 6위 대한민국(22), 7위 일본(20), 8위 인도(17), 9위 튀르키예(12), 10위 영국(11), 14위 파키스탄(9)

3.4 구축함 함대 군사력 순위

구축함 :군사 어뢰 따위를 무기로 사용하여 적의 주력함이나 잠수함을 공격하는 작고 날쌘 군함. 

1위 미국(92), 2위 중국(50), 3위 일본(37), 4위 러시아(15), 4위 대한민국(12), 6위 프랑스(11), 7위 인도(10), 8위 영국(6), 9위 아르헨티나(4), 10위 타이완(4)

 

해군함대의 규모는 각 국가의 해상 군사력의 규모를 나타냅니다. 큰 해군함대를 보유하고 있다는 것은 국가가 해상에서의 군사 작전을 수행하거나, 해상 경계를 방어하거나, 해상에서의 이동과 물류를 지원하는 능력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해군함대, 항공모함, 잠수함 등의 해군 장비의 보유 대수는 국가의 해상 군사력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며, 국가의 군사력 순위를 매기는 데 중요한 요소입니다.

4. 공군 군사력 순위 : 항공기, 전투 요격기, 수송기, 훈련기, 공중 급유기 비교

4.1 항공기 군사력 순위

항공기 : 군사 비행 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개별 항공 부대의 항공기 

1위 미국, 2위 러시아, 3위 중국, 4위 인도, 5위 대한민국 6위 일본, 7위 파키스탄, 8위 프랑스, 9위 튀르키예, 10위 이집트, 11위 북한, 19위 이스라엘, 35위 우크라이나

4.2 전투.요격기 군사력 순위

전투 요격기 : 전투기와 요격기는 국가가 적의 공중 위협에 대응하거나 공중에서의 공격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냅니다. 공중에서의 전투를 수행하거나 적의 공중 위협을 제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위 미국, 2위 중국, 3위 러시아, 4위 인도, 5위 북한, 6위 대한민국, 7위 파키스탄, 8위 타이완, 9위 사우디아랍아, 10위 프랑스, 13위 이스라엘, 49위 우크라이나

4.3 공격기 군사력 순위

공격기 : 공격기는 국가가 적의 지상 목표를 공격하는 능력을 나타냅니다. 공중에서 지상 목표를 파괴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1위 미국, 2위 러시아, 3위 중국, 4위 인도, 5위 북한, 6위 이탈리아, 7위 파키스탄, 8위 이집트, 9위 사우디아라비아, 10위 브라질, 12위 대한민국, 21위 우크라이나, 24위 이스라엘

4.4 수송기 군사력 순위

수송기 : 수송기는 국가가 군사 장비와 병력을 신속하게 이동시키는 능력을 나타냅니다. 군사 작전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자원을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1위 미국, 2위 러시아, 3위 중국, 4위 인도, 5위 브라질, 6위 프랑스, 7위 이란, 8위 튀르키예, 9위 콜롬비아, 10위 독일, 11위 인도네시아, 19위 파키스탄, 24위 대한민국, 31위 우크라이나, 50위 이스라엘, 123위 북한

4.5 훈련기 군사력 순위

훈련기 : 훈련기는 국가가 공군 훈련을 수행하는 능력을 나타냅니다. 공중에서의 군사 작전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인력을 양성하는 능력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1위 미국, 2위 파키스탄, 3위 러시아, 4위 일본, 5위 중국, 6위 인도, 7위 이집트, 8위 대한민국, 9위 튀르키예, 10위 영국, 16위 북한, 20위 이스라엘, 36위 우크라이나

4.6 공중 급유기 군사력 순위

공중 급유기 : 공중 급유기는 국가가 공중에서 장거리 군사 작전을 수행하는 능력을 나타냅니다. 공중에서의 장거리 공격이나 투입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1위 미국(625), 2위 사우디아라비아(35), 3위 프랑스(23), 4위 러시아(19), 5위 이스라엘(10), 6위 싱가포르(10), 7위 이탈리아(10), 8위 스페인(9), 9위 영국(9), 10위 튀르키예(7), 19위 대한민국(4), 20위 파키스탄(4)

 

따라서, 이러한 공군 장비의 보유 수는 국가의 공중 군사력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며, 국가의 군사력 순위를 매기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각 국가가 공중에서의 군사적인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공중에서의 군사 작전을 수행하는 능력이 있는지를 평가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5. 군사력 비교 : 한국과 북한의 군사력

한국은 세계 군사력 순위에서 상위권에 위치하고 있는 국가입니다. 한국의 군사력은 그 국가의 경제력과 기술력을 반영하며, 북한의 핵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강력한 국방 체계를 갖추고 있습니다. 한국은 또한 강력한 군사 산업을 보유하고 있어, 국방력 강화에 필요한 무기와 장비를 자체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한국과 북한의 군사력을 비교하면, 한국이 북한보다 상당히 높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종합 순위에서 한국은 10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북한은 58위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인력 : 한국은 가용인력에서 26위, 현역 군인에서는 7위, 예비역에서는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반면, 북한은 가용인력에서 47위, 현역 군인에서는 4위, 예비역에서는 9위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육군 : 한국은 전차 보유 순위에서 12위, 병력 수송 장갑차에서 4위, 자주포 보유에서 2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북한은 전차 보유에서 2위, 병력 수송 장갑차에서 9위, 자주포 보유에서 7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해군 : 한국은 해군 함대에서 19위, 잠수함에서 6위, 구축함에서 4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북한은 해군 함대에서 순위에 없으며, 잠수함에서 4위, 구축함에서 순위에 없습니다.

 

▶공군 : 한국은 항공기에서 5위, 전투.요격기에서 6위, 공격기에서 8위, 수송기에서 24위, 훈련기에서 8위, 공중 급유기에서 19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북한은 항공기에서 11위, 전투.요격기에서 5위, 공격기에서 5위, 수송기에서 123위, 훈련기에서 16위, 공중 급유기에서 순위에 없습니다. 

 

결론적으로, 한국은 북한에 비해 훨씬 높은 군사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는 한국이 북한에 비해 더 강력한 군사 장비를 보유하고 있으며, 더 많은 인력을 동원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6. 군사력 비교 : 파키스탄과 인도의 군사력

한편, 파키스탄의 군사력은 세계 군사력 순위에서 중위권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파키스탄은 이란, 아프가니스탄 등의 이웃 국가와의 경계 분쟁, 인도와의 카슈미르 문제 등으로 인해 군사력을 중요하게 여기는 국가입니다. 또한, 파키스탄은 핵무기 보유 국가로서 핵전쟁을 감행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파키스탄과 인도의 군사력을 비교하면, 인도가 파키스탄보다 훨씬 높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종합 순위에서 인도는 5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파키스탄은 17위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인력 : 인도는 가용인력에서 2위, 현역 군인에서는 2위, 예비역에서는 6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반면, 파키스탄은 가용인력에서 6위, 현역 군인에서는 6위, 예비역에서는 10위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육군 : 인도는 전차 보유 순위에서 4위, 병력 수송 장갑차에서 10위, 자주포 보유에서 4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파키스탄은 전차 보유에서 11위, 병력 수송 장갑차에서 순위에 없으며, 자주포 보유에서 19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해군 : 인도는 해군 함대에서 9위, 항공 모함에서 6위, 잠수함에서 8위, 구축함에서 7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파키스탄은 해군 함대에서 27위, 항공 모함에서 순위에 없으며, 잠수함에서 14위, 구축함에서 순위에 없습니다.

 

▶공군 : 인도는 항공기에서 4위, 전투.요격기에서 4위, 공격기에서 10위, 수송기에서 10위, 훈련기에서 6위, 공중 급유기에서 순위에 없습니다. 반면에 파키스탄은 항공기에서 7위, 전투.요격기에서 7위, 공격기에서 순위에 없으며, 수송기에서 20위, 훈련기에서 순위에 없으며, 공중 급유기에서 20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7. 군사력 비교 : 한국과 파키스탄의 군사력 

한국과 파키스탄의 군사력을 비교하면, 두 국가 모두 각자의 지역적, 정치적 상황에 맞춰 군사력을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한국은 북한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파키스탄은 이란, 아프가니스탄, 인도 등과의 경계 분쟁에 대비하기 위해 각각 군사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군사력은 세계적으로 상당히 강력하게 인식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은 지상군, 해군, 공군 등 통합된 국방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현대화된 무기 시스템과 잘 훈련된 군인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대한민국은 미국과의 강력한 군사 동맹을 통해 더욱 강력한 국방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파키스탄]

파키스탄 역시 강력한 군사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들의 군사력은 주로 육군, 해군, 공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육군은 매우 강력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파키스탄은 핵 무기를 보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국제적인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한국과 파키스탄의 군사력을 비교하면, 두 나라 모두 강력한 군사력을 보유하고 있지만, 각각의 특성이 조금씩 다릅니다. 한국은 현대화된 무기 시스템과 훈련된 군인, 그리고 미국과의 동맹을 통한 국방력이 강점이라면, 파키스탄의 경우는 육군의 강력함과 핵 무기 보유라는 점에서 강점을 보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비교는 단순히 군사력만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실제 국방력은 여러 다른 요소들, 예를 들어 지정학적 위치, 정치적 안정성, 경제력 등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면, 한국과 파키스탄의 군사력은 각기 다른 방식으로 강점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8. 결론

세계의 군사력 순위는 그 국가의 정치, 경제, 기술, 지리 등 많은 요소를 반영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군사력 순위만을 놓고 국가의 전반적인 힘을 평가하는 것은 부적절합니다. 그러나 군사력은 그 나라가 대외적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므로, 이를 이해하는 것은 각 국가의 정치적 안정성과 국제적 위치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 합니다. 이 글을 통해 한국과 파키탄의 군사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 함께 보면 좋은 정보 ]

 

 

파키스탄의 과학: 원자력부터 우주항공까지

파키스탄은 과학과 기술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원자력, 우주항공, 생명 과학, 정보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파키스탄의 과학자들은 혁신적인 발명과 연구를 통해 세계적인 주목

bookstory-2023.tistory.com

 

파키스탄의 공격, 코드명 '마그 바르 사르마차르(Marg Bar Sarmachar)'

이 글은 이란과 파키스탄 간의 군사적 충돌, 그 중심에 있는 발로치족과 발로치스탄의 역사적 배경, 그리고 중국의 중재 제안등을 다룹니다. 이 문제를 이해하기 위해선 국제 정치, 역사, 그리고

bookstory-2023.tistory.com

 

파키스탄-이란 갈등 : 중동 전운이 남아시아 까지 번지다

파키스탄과 이란 사이의 갈등이 발로치스탄 지역에서 시작되며, 그 영향이 남아시아 전역으로 퍼져가는 상황에 대해 알아봅니다. 이 글에서는 이 갈등의 배경, 발로치스탄의 분리독립 요구, 그

bookstory-2023.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