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파키스탄의 공격, 코드명 '마그 바르 사르마차르(Marg Bar Sarmachar)'

by 이조은세상 2024. 1. 19.

이 글은 이란과 파키스탄 간의 군사적 충돌, 그 중심에 있는 발로치족과 발로치스탄의 역사적 배경, 그리고 중국의 중재 제안등을 다룹니다. 이 문제를 이해하기 위해선 국제 정치, 역사, 그리고 각 국가의 내부 상항을 함께 이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란 남동부 발로치스탄주 폭발이후 연기가 피어오르는 모습

1. 파키스탄의 이란 반격, 코드명 '마그 바르 사르마차르(Marg Bar Sarmachar)

파키스탄과 이란 사이의 국경 지역에서는 최근 미사일 공격과 관련된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이란이 아무런 이유 없이 미사일 공격을 시작하여 어린이 2명이 사망하고 소녀 3명이 부상한 사건이 발생했으며, 이에 대한 파키스탄의 반응은 강렬했습니다다. 파키스탄 외무부는 이란이 국가 주권을 침해했다며 이를 강력히 비난하였습니다.

 

파키스탄 현지의 Geo New에 따르면, 18일 새벽 이란을 공격하는 코드명 '마그 바르 사르마차르' 작전을 수행하였다고 현지 언론을 통해 발표하였습니다. 이란의 미사일 공격에 대한 보복조치 였습니다. 또한 "이란이 파키스탄을 공격한 책임이 있는 테러리스트" 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이란을 직접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습니다. 그러면서 "두 이웃 형제국간" 양자 문제 해결을 위한 대화와 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하기도 했습니다. 성명서는 "오늘 아침의 조치는 이른바 Sarmachar에 의한 대규모 테러 활동이 임박했다는 믿을 만한 정보에 비추어 취해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Geo new 보도 기사 링크입니다. 파키스탄이 이란을 공격한 내용에 대한 파키스탄 정부 당국자의 성명서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https://www.geo.tv/latest/527481-pakistan-army-used-killer-drones-rockets-loitering-munitions-to-target-terrorist-hideouts-in-iran-ispr

 

Pakistan Army used killer drones, rockets, loitering munitions to target terrorist hideouts in Iran: ISPR

BLA, BLF hideouts inside Iran successfully struck in IBO, says ISPR; Iranian state media confirms 7 non-Iranians killed

www.geo.tv

▶마그 바르 사르마차르(Marg Bar Sarmachar)의 뜻

"Marg Bar Sarmachar"는 페르시아어로, 직역하면 "사르마차르에 대한 죽음"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사르마차르'는 종종 파키스탄과 이란 지역의 반군 또는 불만을 가진 세력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문구는 주로 반군 또는 불만을 가진 세력에 대한 반대의 표현으로 사용됩니다. 문맥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의미는 사용되는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2. 드론과 로켓을 이용한 파키스탄의 정밀 타격

이란이 무장단체를 표적으로 삼았다는 공격에 대응하여, 파키스탄 역시 이란 국경 지역에 거주하는 여러 무장 단체를 표적으로 삼았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최소 7명의 민간인이 목숨을 잃었다는 테헤란의 주장으로 보아, 두 나라 사이의 갈등은 점점 심화되고 있는듯 보입니다.

 

작전은 정밀 타격, 킬러 드론, 로켓, 배회 탄약 및 원거리 무기를 이용하여 수행되었다고 밝혔으며, 이것은 이란의 미사일 도발에 대한 보복성 응징으로 해석됩니다. 이 과정에서 파키스탄의 군사적 능력도 함께 엿볼 수 있었습니다. 파키스탄 육군은 작전수행에 있어 부수적인 피해, 즉 민간인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최대한 주의를 기울여 진행되었다고 발표하였는데요. 공격이후 이란 언론쪽에서는 피해자 모두가 이란국적자는 없었다고 발표하기도 하였습니다.

이슬라마바드는 이번 조치가 모든 위협으로부터 국가 안보를 보호하고 방어하려는 파키스탄의 확고한 결의의 표현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매우 복잡한 작전의 성공적인 수행은 또한 파키스탄군의 전문성에 대한 증거이기도 합니다. 파키스탄은 신성하고 불가침적이며 신성한 국민의 안전과 안보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계속 취할 것입니다.”

그러나 성명서는 파키스탄이 이란의 주권과 영토 보전을 전적으로 존중하며 오늘 법안의 유일한 목적은 파키스탄 자신의 안보와 국가 이익을 추구하는 것이며 이는 무엇보다도 타협할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국제 사회의 책임 있는 구성원으로서 파키스탄은 회원국의 영토 보전과 주권을 포함하여 UN 헌장의 원칙과 목적을 지지합니다. 이러한 원칙에 따라 그리고 국제법 내에서 우리의 합법적인 권리를 행사함으로써 파키스탄은 어떤 구실이나 상황에서도 주권과 영토 보전이 도전받는 것을 결코 허용하지 않을 것입니다.”

발로치스탄 FO대변인은 이란을 형제 국가로 지정하면서 파키스탄 국민이 이란 국민에 대해 큰 존경심과 애정을 갖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우리는 테러 위협 등 공동의 도전에 맞서 대화와 협력을 늘 강조해 왔으며 앞으로도 공동의 해결책을 찾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3. 중국의 중재 제안 : 파키스탄과 이란 갈등의 배경

이란과 파키스탄의 긴밀한 파트너인 중국은 자제를 촉구했고, 마오닝 외교부 대변인은 "두 나라 모두 긴장을 고조시킬 수 있는 행동을 피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테헤란과 이슬라마바드 사이를 중재하겠다고 제안했습니다. 중국이 중재를 제안하는 것은 이 지역의 안정과 더불어 그들이 이 지역에서 행사하고 있는 영향력을 더욱 확장하려는 의도를 담고 있을 수 있습니다. 중국은 이슬람 세계의 중요 국가인 파키스탄과 이란 사이의 차이점을 대화와 평화로운 방법을 통해 해결하길 희망한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미국은 이란의 파키스탄, 이라크, 시리아 공습을 비난했으며, 매튜 밀러 미 국무부 대변인은 이란이 "지난 며칠 동안 이웃 국가 3곳의 주권 국경을 침범했다"고 말했습니다. 

4. 발로치족과 발로치스탄 : 영국의 후향과 국경 이슈

영국이 서남아시아에서 물러나면서 남긴 국경선 문제는 여전히 많은 지역에서 갈등의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발로치스탄과 발로치족의 경우도 이러한 역사적 맥락 속에서 그 원인을 찾아 볼 수 있습니다. 19세기부터 20세기 초반에 이르기까지 영국은 이란,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 지역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며, 이 지역의 국경을 결정하는 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발로치족의 전통적인 영토는 세 나라에 걸쳐 나눠지게 되었습니다. 1947년 영국이 인도를 독립시키며 남긴 파키스탄과 인도의 분리는 특히 카슈미르 지역에서 지속적인 갈등을 야기하였고, 이는 발로치스탄 지역에서도 마찬가지였습니다. 발로치족은 이후 세 국가에서 소수민족으로 존재하게 되었으며, 그들의 권리와 문화를 유지하고 보호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으며, 독립을 주장하는 반란을 일으키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이 문제는 단순히 역사적 상황에 의한 결과만은 아닙니다. 각 국가의 내부 정치, 경제, 사회적 상황 등 복합적인 요인들이 상호작용하여 현재의 상황을 만들어내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5. 맺음말

영국의 후향과 국가 간의 갈등, 민족 문제 등 복합적인 요인들이 현재의 이란과 파키스탄 갈등을 야기했을 수 있습니다. 작전명 '마그 바르 사르마차르' 또한 이러한 복잡한 상황을 암시하며, 이를 통해 이 지역에서의 미래와 국제 관계를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러한 이슈들은 단순한 국경 문제가 아닌, 국제 사회가 함께 고민해야 할 일들이 아닐까요?

 

파키스탄에서 살아가는 교민의 한 사람으로 오늘의 이 문제들이 조속히 평화롭게 잘 해결되기를 간절히 바라는 마음입니다. 파키스탄 이야기,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