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어와 다문화 이야기

태극기 이미지와 제작법 : 대한민국의 상징을 다시 보다

by 이조은세상 2024. 4. 28.

일상에서 자주 접하지만 그 의미를 깊게 생각해본 적은 드문 태극기. 이 글에서는 태극기의 역사와 의미, 구성 요소, 게양 방법 및 현대적 가치와 의의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태극기는 단순한 국기가 아닌 대한민국의 역사, 문화, 그리고 국민의 정신이 담긴 중요한 상징입니다. 태극기를 통해 평화와 화합, 애국심을 되새기고, 대한민국 국민으로서의 자긍심을 높여보세요.


태극기의 역사와 의미

태극기는 대한민국의 국기로, 평화와 화합의 상징입니다. 중국으로 망명한 독립지사들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고, 이승만 대통령의 취임과 함께 정식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태극기는 대한민국국기법에 따라 제작, 게양 및 관리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을 규정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국기에 대한 인식의 제고와 존엄성의 수호를 통해 애국정신을 고양하고자 합니다.

1882년 박영효가 고종의 명을 받아 일본에 가면서 ‘태극·4괘 도안’의 기를 만들어 사용하였다는 기록이 있어요.

고종은 1883년 3월 6일 왕명으로 이 ‘태극·4괘 도안’의 태극기를 국기로 제정·공포했지만 국기 만드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정하지 않은 탓에 이후 다양한 형태의 국기가 사용되어 오다가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면서 태극기의 제작법을 통일할 필요성이 커짐에 따라, 정부는 1949년 10월 15일 「국기제작법고시」를 통해 국기 제작 방법을 확정·발표하였답니다.
출처 : 행정안전부

태극기의 구성 요소

태극기는 중앙에 위치한 태극과 네 귀퉁이의 사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태극은 음과 양의 조화를 상징하며, 사괘는 천지(天地), 수산(水山), 화리(火雷) 등 자연의 원리와 이치를 나타냅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대한민국 국민이 지향해야 할 평화와 화합, 그리고 자연과의 조화를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태극기는 언제 어떻게 달까요?

태극기는 특별한 날에 게양되어 그 의미를 더합니다. 대표적인 태극기 게양 날짜로는

3월 1일 삼일절

6월 6일 현충일(조기)

7월 17일 제헌절

8월 15일 광복절

10월 1일 국군의 날

10월 3일 개천절

10월 9일 한글날이 있습니다.

각 날짜는 대한민국의 중요한 역사적 사건을 기념하며, 태극기를 통해 국민들이 그 의미를 되새기고 애국심을 표현하게 됩니다.


국기를 다는 시간

▲ 국기는 매일·24시간 달 수 있으나 야간에는 적절한 조명을 해야 합니다.

▲ 학교나 군부대는 낮에만 달아야 합니다.

▲ 국기를 매일 게양·강하하는 경우

▲ 다는 시각 : 오전 7시

▲ 내리는 시각 : 3월 ~ 10월까지는 오후 6시, 11월 ~ 2월까지는 오후 5시

▲ 국기가 심한 눈·비와 바람 등으로 그 훼손이 우려되는 경우에는 달지 않습니다. 


국기는 이렇게 달아요

▲ 집 밖에서 바라보아 대문 (베란다)의 왼쪽 또는 중앙에 달아요.

태극기 다는 방법 출처 : 행정안전부


태극기 그리는 방법 및 이미지 파일

태극기 이미지 다운받기

태극기 그리는 방법.jpg
0.27MB
태극기 이미지.jpg
2.97MB

 

태극기 색칠공부 다운받기

21_태극기색칠공부.jpg
0.06MB

 

우리나라 국가상징> 태극기

태극기는 이렇게 만들어졌어요 1882년 박영효가 고종의 명을 받아 일본에 가면서 ‘태극·4괘 도안’의 기를 만들어 사용하였다는 기록이 있어요. 고종은 1883년 3월 6일 왕명으로 이 ‘태극·4괘

www.mois.go.kr

태극기의 현대적 가치와 의의

현대 사회에서 태극기는 단순히 국가의 상징을 넘어서, 평화와 화합, 그리고 자유를 향한 염원을 담고 있습니다. 글로벌화된 세계에서 태극기는 대한민국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매개체이며, 국제 사회에서 대한민국 국민으로서의 자긍심을 고취시킵니다.

 

태극기는 단순한 국기를 넘어 대한민국의 역사, 문화, 그리고 국민의 정신을 담고 있는 중요한 상징임을 잘 기억해 두세요.